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뮤직_비즈니스:대중문화예술기획업:label:음반제작_비즈니스_모델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음반/음원 제작 비즈니스 모델

음악 제작 단계에서의 비즈니스 모델과 이해관계자(투자자, 제작사/레이블, 프로듀서, 아티스트) 간 관계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합니다. 아래에서는 대표적인 세 가지 케이스를 중심으로 구조와 특징을 설명합니다.

제작사(레이블) 주도 제작 모델

이 모델은 전통적인 음악 산업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방식입니다.

  • 제작사(레이블)아티스트와 계약을 체결하고, 음반 제작 및 유통, 마케팅, 프로모션을 책임집니다.
  • 아티스트는 계약 조건에 따라 음원, 음반 수익의 일정 비율(로열티)을 배분받습니다.
  • 만약 제작사가 자체적으로 프로듀싱 역량이 부족할 경우, 외부 프로듀서를 섭외해 프로젝트에 참여시킵니다. 이때 프로듀서는 고정 비용(페이) 또는 일정 지분(수익 분배) 조건으로 참여할 수 있습니다.
  • 투자자가 별도로 참여하는 경우, 제작비 조달과 리스크 분산을 위해 자본을 투입하고, 수익 배분 구조에 따라 일정 몫을 가져가기도 합니다.
  • 프로듀서, 작곡가, 세션 뮤지션 등은 각각의 계약 조건에 따라 별도의 수익(고정 페이 또는 로열티 일부)을 받습니다.

장점

  • 대규모 자본과 네트워크를 활용한 마케팅, 유통, 프로모션이 가능
  • 아티스트는 창작에 집중할 수 있음
  •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제작 환경

단점

인디/독립 제작 모델

디지털 유통 환경의 발달로 점점 늘고 있는 방식입니다.

  • 아티스트가 직접 음반 제작의 주체가 됩니다.
  • 제작비는 아티스트의 자비, 크라우드 펀딩, 소규모 투자 등 다양한 방식으로 조달합니다.
  • 아티스트가 직접 프로듀서를 섭외해 비용을 지급하고 협업할 수도 있고, 아티스트 본인이 프로듀싱, 작사, 작곡, 연주까지 모두 맡는 DIY 방식도 많습니다.
  • 수익 배분 구조는 아티스트가 대부분을 가져가며, 프로듀서나 협업자의 경우 사전 계약에 따라 고정 페이 또는 일정 지분을 배분받습니다.

장점

  • 아티스트의 창작적 자유 극대화
  • 수익 구조가 투명하고, 아티스트 몫이 큼
  • 과의 직접적 소통 및 다양한 실험 가능

단점

  • 마케팅, 유통, 프로모션 등에서 한계
  • 제작비, 리스크 부담이 아티스트에게 집중,
  • 음원 수익으로 제작비를 회수하는 것에 상당히 오랜 기간이 걸수 있음

제작사 프로듀싱 역량 보유형 모델

제작사가 자체적으로 강력한 프로듀싱 역량(소속 프로듀서, 전속 작곡가 등)을 갖춘 경우입니다.

장점

  • 일관된 기획력과 프로덕션 퀄리티 유지
  • 제작-프로듀싱-유통-마케팅의 수직계열화로 효율성 극대화
  • 신속한 의사결정 및 프로젝트 진행

단점

  • 제작사 시스템에 의존적
  • 아티스트의 독립성, 개성 발현에 제약이 있을 수 있음

기타 참고사항

  • 최근에는 스트리밍, 플랫폼, NFT 등 다양한 수익 모델이 등장하며, 아티스트프로듀서, 레이블 간의 관계도 점차 유연해지고 있습니다.
  • 수익 배분은 계약에 따라 크게 달라지며, 메이저 레이블의 경우 아티스트가 10~15% 정도의 로열티를 받는 반면, 인디는 50% 이상을 가져가는 경우도 많습니다.
  • 퍼블리싱(저작권 관리), 프로모션 대행, 투자자(엔젤, 벤처)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추가로 참여할 수 있습니다.
로그인하면 댓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뮤직_비즈니스/대중문화예술기획업/label/음반제작_비즈니스_모델.1747595154.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