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정승환_컬럼:음악프로듀셔의_수익구조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음악 프로듀서 수익 구조 정리

음악 프로듀서가 현대 음악 산업에서 수익을 창출하는 방식은 크게 세 가지 구조로 나뉜다. 각 구조는 법적 주체, 계약 형태, 저작인접권 처리 방식에 따라 차이가 있다.

1. 직접 제작·유통형

자체 사업자 등록형

프로듀서대중문화예술기획업 허가를 보유하고 직접 음반 제작자로 활동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프로듀서음반 제작의 모든 법적 주체로서 저작인접권 중 ‘음반제작자의 권리’를 가진다.

이 구조는 완전 독립제작 형태이며, 리스크는 높지만 수익 배분의 자율성이 크다.

2. 레이블 참여형

소속 또는 공동제작형

프로듀서가 독립 사업자가 아닌 기존 레이블에 소속되거나, 프로젝트 단위로 공동제작 계약에 참여하는 구조다.

이 구조는 위탁제작형 수익모델로, 안정적이지만 배분율은 낮은 편이다.

3. 외주형 제작비 수령

작업비 선지급형

독립 아티스트가 자신의 명의로 음원을 유통하고, 프로듀서는 단순히 제작 서비스 공급자로 참여하는 구조다.

이 구조는 즉시 수익을 얻지만 장기적 음원 수익에는 참여하지 않는다.

수익 구조 비교표

구분 법적 주체 계약 형태 주요 수익원 리스크 및 특성 저작인접권 귀속
직접 제작·유통형 프로듀서 제작·유통 계약 유통수익, 저작인접권 투자 리스크 높음, 수익 자율 분배 프로듀서
레이블 참여형 레이블 공동제작 또는 소속 계약 분배 수익 (저작인접권 일부) 안정적이나 배분율 낮음 레이블 (내부지분 명시 시 공동귀속)
외주형 제작비 수령 아티스트 용역 계약 작업비(선지급) 투자 없음, 반복적 외주 가능 아티스트

결론

프로듀서의 수익 구조는 저작권(창작자 수익), 저작인접권(제작자 수익), 용역대가(작업비 수익)으로 구분된다. 어떤 구조를 택하느냐는 법적 주체와 계약 내용에 따라 달라진다.

1)
스트리밍 플랫폼 포함
로그인하면 댓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정승환_컬럼/음악프로듀셔의_수익구조.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