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승환_컬럼:음악프로듀셔의_수익구조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음악 프로듀서 수익 구조 정리
1. 직접 제작·유통형
자체 사업자 등록형
프로듀서가 대중문화예술기획업 허가를 보유하고 직접 음반 제작자로 활동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프로듀서는 음반 제작의 모든 법적 주체로서 저작인접권 중 ‘음반제작자의 권리’를 가진다.
- 유통 수익 분배 (예시)
- 아티스트에게는 계약서 또는 구두합의에 따라 일정 비율(40~50%)을 분배할 수 있다.
이 구조는 완전 독립제작 형태이며, 리스크는 높지만 수익 배분의 자율성이 크다.
2. 레이블 참여형
소속 또는 공동제작형
프로듀서가 독립 사업자가 아닌 기존 레이블에 소속되거나, 프로젝트 단위로 공동제작 계약에 참여하는 구조다.
- 프로듀서의 수익 형태:
- 저작인접권의 일부 (10~30%)
- 고정 제작비 또는 인세형 수익 (총 수익의 일정 비율)
- 레이블의 배분 비율은 40~60% 수준으로, 유통·홍보·투자 리스크를 부담하는 대가로 설정된다.
이 구조는 위탁제작형 수익모델로, 안정적이지만 배분율은 낮은 편이다.
3. 외주형 제작비 수령
작업비 선지급형
독립 아티스트가 자신의 명의로 음원을 유통하고, 프로듀서는 단순히 제작 서비스 공급자로 참여하는 구조다.
이 구조는 즉시 수익을 얻지만 장기적 음원 수익에는 참여하지 않는다.
수익 구조 비교표
결론
1)
스트리밍 플랫폼 포함
로그인하면 댓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정승환_컬럼/음악프로듀셔의_수익구조.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