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정승환_컬럼:드럼_스네어에_컨덴서_마이크_사용_시_고려_사항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드럼 스네어에 컨덴서 마이크 사용 시 고려 사항

스네어 드럼에 콘덴서 마이크를 사용할 때의 가장 큰 장점은 한 대의 마이크만으로도 상단의 어택과 하단 와이어의 섬세한 소리를 균형 있게 포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다이내믹 마이크를 사용할 경우 보통 상단(타격음)과 하단(와이어 소리)에 각각 마이크를 설치해 두 소리를 섞어야 하지만, 콘덴서 마이크감도가 높고 주파수 응답이 넓어 스네어의 어택, 바디, 와이어의 ‘치직’거림까지 자연스럽게 한 번에 담아낼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다음과 같은 실질적인 장점이 있습니다.

  • 설치가 간편하고 위상 문제를 줄일 수 있음: 한 대의 마이크로 상·하단 소리를 모두 포착하므로, 두 대의 마이크를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위상 문제나 믹싱의 번거로움이 줄어듭니다.
  • 스네어의 디테일과 공간감 표현에 유리: 콘덴서 마이크트랜지언트 반응이 빠르고 미묘한 뉘앙스까지 포착해, 브러시 연주나 작은 터치, 와이어의 질감 등 스네어의 섬세한 부분까지 사실적으로 녹음할 수 있습니다.
  • 밝고 개방적인 사운드: 넓은 주파수 응답 특성 덕분에 스네어의 밝고 선명한 울림, 공간감, 공기감까지 잘 담아내어, 오버헤드와의 조합에서도 자연스러운 밸런스를 얻을 수 있습니다.
  • 믹싱 과정의 효율성: 상·하단 마이크밸런스를 따로 맞출 필요 없이, 한 트랙에서 이미 균형 잡힌 사운드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스네어 드럼은 높은 음압(SPL)과 빠른 어택 타임을 가진 악기로, 컨덴서 마이크 사용 시 다음과 같은 기술적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스네어 드럼의 음압(SPL)과 마이크 위치 영향

^ 거리 ^ 계산식 ^ 결과 (dB SPL) ^

1m 기준 100
10cm +20dB 120
5cm +26dB 126

* 10cm 쯤의 거리에서 마이킹을 한다고 했을떄 120dBRMS 값이고, 드럼의 스네어는 20dB가 넘는 크레스트 팩터를 가지기 때문에, 최대 피크 음압은 아마도 140dB 까지 올라갈 것입니다.

컨덴서 마이크의 감도와 최대 출력 전압

저감도 컨덴서 마이크의 필요성과 한계

제가 알고있는 슬 컨덴서 마이크 중에 감도가 가장 낮은 제품은 Samson의 C02 였습니다.

  • 감도 컨덴서 마이크 예시(Samson C02):
    1. 감도: 10mV/Pa
    2. 최대 SPL: 134dBSPL (약 31.6Pa)
    3. 134dB SPL에서 출력 전압은 10mV/Pa x 31.6Pa = 316mV(약 -8dBu)입니다.
    4. 만약 스네어의 피크가 140dB SPL(약 100Pa)까지 도달한다면, 출력 전압은 10mV/Pa x 100Pa = 1V (약 +2dBu)까지 상승할 수 있습니다.
  • 사실 마이크MaxSPL이 134dBSPL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스네어톤은 안전하지만 매우 강한 스네어 타격에서는 마이크에서 이미 소리클리핑 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굳이 컨덴서 마이크를 사용하는 것보다, 다이내믹 마이크를 사용하는 편이 추천됩니다.
  • DPA 4099에서 PAD 가 적용된 저감도 모델의 경우 감도가 6mV/Pa에 최대 MaxSPL 이 152dBSPL인 제품이 있기는 합니다.(그래서 드럼에도 사용이 가능하고 그렇게 판매도 합니다.)

결론

스네어 드럼에 컨덴서 마이크를 사용할 때는 고내구성 설계, 감도, 프리앰프 헤드룸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저감도 컨덴서 마이크가 이상적이지만 시장성 문제로 그런 제품은 거의 없습니다.

로그인하면 댓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정승환_컬럼/드럼_스네어에_컨덴서_마이크_사용_시_고려_사항.1745473579.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4/24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