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유저위키:마이크로폰:sony:c-800g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C-800G

개발 이야기

소니의 마이크 개발 부문에서 오랜, 일을 해 온 무라카미 요시히로씨와 도야마 야스아키씨.

1983년 입사한 무라카미씨와 1988년 입사한 도야마씨는 1988년 개발이 시작된 C-800G에 다양한 형태로 관여해 왔다.

우선 무라카미 씨가 당시를 회상해본다.

“나는 입사시 고주파(RF)의 엔지니어로서 아츠기 테크놀로지 센터에 새로 만든 정보 기기 사업 본부내의 음향 기기 사업부에 배치되어 무선 마이크의 설계에 들어갔습니다. 바로 옆에서, C-800G의 개발이 시작되었을 때는 옆눈으로 보면서 “이 시대에 진공관을?”하고 놀랐습니다.

“그러나 흥미가 솟았습니다. 개발중인, C-800G 앞에서 대본을 읽는 음질 평가의 작업에 자주 불려나가, 개발에 참여했었습니다. 그 후, 2000년에 설계 총괄 부장에 취임, 오디오 비즈니스를 추진하는 입장에서도 C-800G의 설계/개발에 있어서의 자료 작성 하면서 제품을 깊이 알게 되었습니다.”

한편, 도야마씨는 C-800G의 개발을 시작한 직후에 입사, 유선 마이크과에 배치. C-800G의 팀은 아니었지만, 신입으로서 업무를 맡았다.

“C-800G의 전원 유닛 AC-MC800G의 프로토 타입입니다.” 자신이 만든 시제품을 “분명히 소리가 좋다”고 평가받은 적이 있었고, 그 때 솔더(납땜)의 양의 차이 등 다양한 한 요인이 소리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배웠다고 한다.

도야마씨는 후년, 매니지먼트의 입장에 착수해, 유선 마이크와 일부 무선·마이크의 설계를 나누면서, C-800G에 대해서는 부품 조달을 비롯한 제품 유지의 면에서 관계를 계속해 왔다.

그런데, C-800G의 개발이 시작된 1988년, 소니는 나중에 레코딩 스튜디오의 스탠다드가 되는 디지털 MTR, PCM-3348을 발표했다.

또한 1982년에는 최초의 소비자용 CD플레이어 CDP-101을 발매 했다. 소니 자신이 견인하는 형태로 음악디지털화가 진행되고 있던 시대다. 거기 진공관 마이크가 있었다.

“아까도 말했지만, 솔직히, 처음에는 왜 지금, 진공관일까? 소니의 콘덴서 마이크에서는, FET를 사용한 C-38B가 인기를 얻고 있어 편리성도 높았기 때문에.그러나, 레코딩의 현장에서는 진공관 마이크에도 여전히 평가가 좋아 수요가 있었어요“라고 무라카미씨가 말했다.

이어 도야마 씨가 이렇게 말한다.

진공관이기 때문에 그 소리가 나는 것은 틀림없으니까. 분명한 장점이 있었어요. 두터움이 있고, 따뜻하고, 부드럽다. 그리고 표현력이 뛰어나다”

그 부드러움과 따뜻함은 필수 불가결했을지도 모른다.

'증명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이라고 전제하면서도 2명은 진공관 내부에 상상력을 넓힌다.

우선 무라카미 씨.

진공관을 히터로 가열하면 내부에서 전자가 움직입니다. 압도적인 폭포와 같은 전자의 양이 됩니다. 그래서 정보량이 엄청 큰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진짜 그렇다고 생각합니다. ”

도야마씨도 거들었다. “역시 전자의 움직임이겠지요. 전자의 알갱이, 그 하나하나의 움직임이 표현력이 아닐까 생각합니다”라고 진공관 마이크에 대해서 말한다.

C-800G에 채용된 진공관은, 구하기도 쉬웠던 NATIONAL ELECTRONICS사의 6AU6A. 1958년에 발매된 소니의 최초의 진공관 마이크 C-37A에 채용되고 있던 NEC제 6AU6L의 실적도 감안 같은 계통을 선택하였다.

C-800G의 소리는, 스피드감이 있으면서도 두터운 음량을 동시에 잡기 위한 목표로 만들어졌다. 스피드감이란, 즉, 소리의 상승 속도, 입력에 대한 반응이 장점이다. 이것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강성이 높은 바디와 진동에 강한 구조 등이 요구되고, 디바이스에 있어서는 캡슐, 진공관, 트랜스의 3개가 중요해진다고 한다.

진공관 마이크의 구조를 방해하지 않으면, 캡슐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 외부 기기에 손실 없이 출력한다는 것이다.

C-800G의 캡슐에 사용되는 다이어프램이 들어 있는 캡슐은 34mm 직경의 듀얼. 소재는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금 도금이 되어 있다. 라지 다이어프램이지만, 캡슐임피던스를 낮추어 다이어프램음향 부하를 줄이고, 원활하게 구동되어 응답 특성을 향상시켰다고 말한다.

도야마 씨가 말한다.

“아주 미세한 것이지만 나사 1개 1개의 재질이나, 링의 재질, 전극의 정지 방법, 표면 처리 등의 부분도 소리의 상승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링은 강도가 높은 세라믹을 사용했다”

다이어프램의 텐션은 너무 강하거나 너무 약해도 소리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그 절묘한 안배를 실현하기 위해서 C-800G의 텐션 조정은 수작업으로 행해지고 있다. 또한 변압기의 코일도 하나하나 손으로 감겨져 있다.

“처음에는 트랜스·메이커로부터 트랜스를 구입했지만, 음질적으로 만족스러운 것을 안정적으로 공급해 주지 않았기 때문에, 사내에서 만들기 시작했습니다.코일도 기계로 감으려고 하려고 했지만, 요구하는 음질이 실현되지 못해하지 결국 손으로 감았어요”

(디자인에 대해서)

확실히 기능미라고 말하기에 적합한 디자인이지만, 지금은 익숙해졌기 때문에, 그렇게 생각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개발 당시는 상당히 독특한 형태로 보였을 것이다.

디자인에 대한 결단도 어려웠던 것이 아닐까.

무라카미 씨가 되돌아 본다.

“그때는 디자인 부문이 사장 바로 아래층에 있었고, C-800G의 디자인에 OK의 판단을 내린 것은 당시의 오가 노리오 사장이었습니다. 개발의 현장에 오셨을 때 “특이하게 변한 마이크구나”라고 이야기를 하고 있었습니다.오가 사장은 성악가이기도 했으므로, 관심을 가지고 보았습니다.”

한편 도야마 씨는 이렇게 말한다.

“보컬이 C-800G 앞에 서면, 진공관과 냉각 기구가 마이크 본체의 뒤에 숨어진다. 그래서 압박감을 주는 일이 없다. 잘 만들어 디자인이라고 생각합니다”

개발 초기뿐만 아니라 재료나 부품에 변경이 생겼을 때에도 프로토타입을 반복해서 꼼꼼하게 음질평가를 실시 “C-800G의 컬러”가 유지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우선 사내에 있는 리스닝 룸에서 테스트 합니다”라고 도야마 씨가 말한다.

청취실의 설정도 엄격하고, 마이크 스탠드를 세우는 위치도 마킹되어 있는 것은 물론, 마이크 스탠드의 나사도 마음대로 바꾸면 소리가 바뀌기 때문에 800G전용의 설치되어 있다

이어 무라카미 씨가 이렇게 말한다.

“청취실에는 C-800G의 레퍼런스 기기가 있어, 그것과 오로지 듣고 비교한다. 개발하는 인간은, 전기나 메이커의 전문가로, 음악에 관해서는 레코딩 엔지니어와 같은 사람들에 비하면 아마추어의 이지만, 매일 듣고 비교를 하고 있으면 세세한 차이도 알게 된다.”

초기 C-800G의 음질 평가에는 인간의 목소리 외에 어떤 도구가 이용되고 있었다. 명진화사의 젓가락이다. 명진화 젓가락은 헤이안 시대부터 계속되는 화젓가락. C-800G의 음질 평가에서는, 끈으로 매달린 철제의 화젓가락을 부딪쳐 소리녹음, 음원으로서 사용했다.

유저위키의 모든 컨텐츠는 홈레코딩 위키에 등록된 사용자에 의해 만들어진 컨텐츠입니다.

로그인하면 댓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검색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유저위키/마이크로폰/sony/c-800g.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6/20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