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음향:hardware:patchbay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패치베이

Patchbay

패치베이의 상단은 출력용(뒷면은 입력), 하단부는 입력용(뒷면은 출력) 이다.

패치베이에 사용하는 커넥터는 주로 Bantam(TT), 이나 TRS를 사용한다. 반탐(TT)의 경우는 직경이 작아 19“ 1u 랙 사이즈에 96홀이 가능하고 TRS 의 경우는 48홀이 가능하다.

패치베이 연결방식

패치베이를 셋업하는 방식이다. 그림은 패치베이의 단면이다.

Full normalled

완전 정상인 상태, 상단과 하단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단이나 하단에 패칭이 발생하면 연결이 끊어진다.

믹서인서트와, 인서트 이팩터를 연결할 때 주로 사용

Half normalled

반만 정상인 상태, 상단과 하단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단에 패칭이 발생해도 연결이 안 끊어지고, Passive Split1) 된다.
단, 하단에 패칭이 발생하면 연결이 끊어진다.

믹서인서트와, 멀티 트랙 레코더를 연결 시에 주로 사용

이렇게 하면 Direct out 이 없는 아날로그 믹서라고 해도 Insert 를 Direct out 처럼 사용이 가능하다. 실제로 소형 믹서에서는 이렇게 쓰는 것이 레코더(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 연결을 위한 정석이다.2)

De normalled

상단과 하단이 완전 독립된 상태

일반 FX 이팩트를 연결할 때 주로 사용

Parellel

병렬 연결 상태, 상단과 하단이 연결된 상태에서,하단에 패칭이 발생하면 연결이 끊어진다.

https://www.soundonsound.com/techniques/patchbays-modern-studio

믹싱 레코딩

1)
신호를 split 하는 것은 결국 신호의 크기가 작아지게 되므로 노이즈 레벨이 증가 된다. 그래서 패치베이나 패치 케이블을 고급으로 쓰는 경우가 많았다.
2)
다만 이 방법은, 믹싱 콘솔 인서트임피던스와, 레코더 입력의 임피던스 값의 차이에 따라 녹음 되는 레벨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어서, 보다 나은 방법을 추구하는 스튜디오들에선 잘 시도되지 않는다. B 급 마이너 스튜디오들에서 많이 하던 방법.
로그인하면 댓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검색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음향/hardware/patchbay.1653457644.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2/05/25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