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러그인(Plugin)은 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Digital Audio Workstation, DAW) 소프트웨어에서 사용되는 확장 모듈 또는 추가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DAW는 오디오 녹음, 편집, 믹싱 및 마스터링을 위한 툴을 제공하며, 플러그인은 이러한 DAW에 다양한 음향 처리와 효과를 추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보통 대부분의 플러그인 포맷이 다른 회사에서도 개발할 수 있도록 SDK 나 API 등을 공개 하기 때문에 어떤 플러그인 포맷이던, 오리지널 뿐만 아니라 3rd party 제작사들도 많습니다.
A “Plugin” is a term used to describe a software component that provides additional functionality, effects, or instruments that can be added to Digital Audio Workstation (DAW) software. DAWs offer tools for audio recording, editing, mixing, and mastering, and plugins are used to add various audio processing and effects to these DAWs.
Since most plugin formats typically have SDKs or APIs that are made available to other companies, many third-party developers create plugins in addition to the original ones. This means that regardless of the plugin format, there are often numerous plugins available from both the original developers and third-party manufacturers.
Audio Unit.
https://developer.apple.com/documentation/audiounit
APPLE 사의 Logic pro 에서 돌아가는 플러그인 포맷이다. CPU 프로세스 기반이다.
Microsoft 사의 플러그인 포맷이다. SONAR 에서 사용할 수 있었지만, 현재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CPU 프로세스 기반이다.
Rack Extension
https://www.propellerheads.com/en/reason/rack-extensions
Propellerhead 사의 Reason 을 위한 플러그인 포맷이다.
의외로 상당히 많은 플러그인들이 있다.
https://www.Waves.com/soundgrid-systems
이것도 역시 플러그인 포맷은 아니지만, Waves 사의 SoundGrid 포맷의 플러그인들은 VST포맷을 기반으로, 전용 DSP 서버 프로세스 기반의 플러그인으로도 사용한다.
Waves 사의 SoundGrid DSP server 가 필요하다.
SoundGrid DSP server 의 DSP 프로세서는 Intel사의 CPU 기반이다. (64bit floating point)
대부분의 디지털 믹싱 콘솔에 호환되기 때문에 Near zero latency 를 구현 가능하기 때문에, 현재 라이브 환경의 플러그인 포맷으로 시장의 거의 대부분을 점유하고 있다.1)
https://www.steinberg.net/en/company/technologies/vst3.html
Virtual Studio Technology
Steinberg 사에서 개발한 플러그인 포맷이다.
CPU 프로세스 기반으로 동작하는 것이 기본이다.
VST3 까지 나와있고, VST3 는 64bit floating point 까지 지원한다.
또한 대부분의 DAW 들이 VST 플러그인 호스트3)로 동작한다.
Abletone LIVE, Adobe Audition, Adobe Premier, Ardour, Band in a box, Bitwig, Cakewalk, Digital performer, Logic pro, Maschine, Pyramix, Presonus studio one, Reaper, Samplitude, Vegas, Soundforge, Acid, Nuendo, Cubase, Wavelab,
등 셀 수도 없이 많은 DAW 가 VST 플러그인을 동작 시킬 수 있다.
플러그인의 내부에 알고리즘 중에 자체 레이턴시를 생성하는 부분을 동작하지 않도록 OFF 함으로써, 플러그인의 레이턴시를 제거하는 모드를 말한다.
보통 오버샘플링이나 안티 앨리어싱 필터 등의 알고리즘이 이러한 레이턴시를 생성하게 된다.
UA 의 경우에는 프리앰프 플러그인들이 자체 레이턴시를 가지는 경우가 많이 있기 때문에, UA Console 입력 인서트에 프리앰프 플러그인을 걸어 사용하면, 레이턴시 때문에 녹음에 방해 될 수가 있다.
그래서 유니즌 프리앰프 모드라는 제로 레이턴시 모드를 따로 넣어서, 프리앰프 플러그인이 유니즌 프리앰프로 사용되게 되면, 플러그인 내부에서 레이턴시를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OFF 하여, 제로 레이턴시 모드로 사용한다.
이러한 UA 의 플러그인을 일반 모드로 사용할 때와, 유니즌 프리앰프로 사용할 때의 소리를 비교해 보면 확실히 유니즌 프리앰프로 사용한 경우가 좋지 않게 들린다.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