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유저위키:마이크로폰:neumann_m-49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Neumann M49, M50

Neumann M49의 발명은 멀티 패턴 마이크 기술에 있어서 큰 진전을 나타냈습니다. Neumann의 M49는 당시 유일한 다른 다중 패턴 마이크였던 U47에 비해 두 가지 큰 장점을 가지고 설계되었습니다.

첫째, M49는 마이크가 켜져 있을 때 두 개의 다이어프램 모두에 전압을 유지합니다. 반면, U47은 카디오이드 모드에서 후면 다이어프램을 완전히 차단했습니다. 이 작은 변화로 인해 M49의 민감도는 세 가지 지향성 옵션에서 비교적 일관되게 유지되며, 특히 U47의 전지향성감도와 카디오이드 민감도 사이의 5dB 차이와 비교할 때 그렇습니다.

둘째, M49의 지향성을 변경하는 것은 마이크 본체의 스위치가 아닌 원격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지향성 변경은 M49의 전원 공급 장치에 있는 다이얼을 통해 이루어졌습니다. 이는 마이크를 깨끗하고 내구성 있게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었습니다.

Neumann M49는 방송 및 스튜디오 시장에서 그 당시 인기 있는 마이크였습니다. 이 전설적인 마이크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습니다.

Neumann의 M50은 주로 M49를 기반으로 한 단일 패턴 전지향성 마이크였습니다. M49와 동일한 외장과 앰프를 가지고 있었지만 새로운 개선된 캡슐을 탑재했습니다.

M50은 그 풍부한 특성과 2500Hz 이상의 주파수에서 5dB 정도의 하이 셀프 부스트로 인해 계속해서 사랑받고 있습니다.

Specification

M49

  • Capsule: originally Neumann's M7, later Neumann's K47/49(1956)
  • Vacuum tube: originally Hiller MSC2, later Telefunken AC701 subminiature triode (1954)
  • Polar patterns: omnidirectional, cardioid, and bidirectional (adjustable remotely on the power supply)
  • Frequency response: 40Hz – 15,000Hz
  • Sensitivity rating: ~0.7mV/dyne/cm2 into 1,000Ω load
  • Output impedance: 50Ω or 200Ω ± 20%
  • Self-noise: 32dB (U49c model)
  • Maximum sound pressure level: 0.6% THD @114dBSPL, 1,000 Hz tone

M50

  • Capsule: originally KK50, later KK53 (1952) and KK83 (1965)
  • Vacuum tube: originally Hiller MSC2, later Telefunken AC701 subminiature triode (1954)
  • Polar pattern: omnidirectional
  • Frequency response: 40Hz – 15,000Hz
  • Sensitivity rating: 1.0 mV/dyne/cm2 into 1,000 Ω load
  • Output impedance: 50Ω or 200Ω ±20%
  • Self-noise: 28dB (U50c model)
  • Maximum sound pressure level: 0.6% THD @114 dBSPL, 1,000 Hz tone

유저위키의 모든 컨텐츠는 홈레코딩 위키에 등록된 사용자에 의해 만들어진 컨텐츠입니다.

로그인하면 댓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검색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유저위키/마이크로폰/neumann_m-49.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6/10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