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유저위키:신디사이저:fm_synth:yamaha_dx7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Yamaha DX7

1983년에 Yamaha에서 출시한 디지털 신디사이저입니다. DX7은 주파수 모듈레이션(FM)을 정말 잘 활용하는 최초의 대량 생산 신디사이저이자 대량 판매되는 최초의 디지털 신디사이저였습니다. 이 신디사이저는 소개된 이후 7년 동안 Yamaha의 전체 키보드 라인의 방향을 정의했습니다. 10만 개가 넘는 판매량을 기록하여 현재까지도 역사상 가장 많이 판매된 신디사이저로 남아 있습니다. 이 제품은 1983년에 제작 및 출시되었습니다.

DX7 이야기는 음악 작곡가이자 연구원인 John Chowning과 함께 합니다. 그는 1960년대 후반 스탠포드 대학에서 일할 때 디지털 FM 합성 방법을 실험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는 그 시대의 느린 컴퓨터에서 실행가능하고, 실제 종소리 및 퍼커션 악기와 같은 악기를 흉내 내기 위해 FM 음색을 계산하는 방법을 개발했습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연산력이 과도하게 필요하지 않았습니다. 스탠포드 대학을 통해 그는 음악 합성FM을 적용한 특허를 획득했습니다.

1973년, Chowning과 스탠포드는 이러한 특허를 Yamaha라이선스로 전달했습니다. FM 기술을 합리적인 크기의 악기에 통합 할 수 있는 IC 개발까지는 8년이 걸렸습니다. 1980년, YamahaFM을 사용하는 첫 번째 악기인 GS1 오르간/신디사이저를 소개했습니다. GS1은 기관 고객을 대상으로 한 크고 비용이 많이 드는 악기였으며, 많이 팔리지 않았으며, FM 음색 합성은 거기에 전혀 맞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YamahaFM 신디사이저 회로로 작은 DX7 신디사이저를 구축했습니다. DX7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그것의 훌륭한 팩토리 패치(프리셋)였습니다. 이 팩토리 패치는 화려한 피아노와 로즈 피아노, 그리고 브라스 사운드를 제공하는 것으로 사람들을 감동시켰습니다. 1983년에 소개된 이후 2년 만에 DX7은 대부분의 경쟁사를 쓸어 버렸습니다. 추가 모델은 더 많은 패치 메모리, 개선된 처리 회로, 추가 사운드 및 패치 데이터를 위한 플로피 디스크 저장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If I Say Yes”(1986)와 “Wind Beneath My Wings”(1989)에서 Yamaha DX7 사운드 소스 “ROM 128”패치 “Sloe Bells” 및 ROM-4A 패치 “Tub Bells”이 들려졌습니다. 노래 “Dreamin'”(1988) 및 “Wind Beneath My Wings”(1989) 및 Kids Incorporated “Dreamin'” 및 “Wind Beneath My Wings”커버 노래에서 Yamaha DX7 내장 패치 “Electric Piano 1”및 ROM-1A 패치 “Electric Piano 1”및 “Tub Bells”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DX7의 우위는 신디사이저 시장을 여러가지 방법으로 바꾸었습니다. 그것이 전부 좋은 일은 아니었습니다. Yamaha는 많은 플레이어가 FM 합성 방법의 복잡함 때문에 힘들어할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또한 파라미터의 수가 너무 많기 때문에 모든 파라미터를 컨트롤하게 할 경우 패널이 매우 혼잡하고 비용이 많이 들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Yamaha는 UI를 최소화했습니다. 작은 영문 표시로 에디팅 파라미터를 선택하기 위해 메뉴를 이동하는 버튼 세트와 선택된 파라미터의 값을 설정하기 위한 싱글 컨트롤러가 있었습니다. 그 결과, 많은 DX7 플레이어가 패치 에디팅을 거의 또는 전혀하지 않았으며 팩토리 패치를 구입하거나 팩토리 패치를 플레이했습니다. 사실, DX7은 대량 구매되는 첫 번째 신디사이저였습니다. 신디사이저로서에 대한 관심이 없는 연주자들이 구매했습니다. 그들은 그저 피아노의 대체품으로 사용하려고 했습니다. 추가로 오르간과 브라스 사운드까지 낼수 있었으니까요.

한편, DX7의 인기는 다른 많은 신디사이저를 시장에서 몰아냈습니다. 그때 당시의 아날로그 신시사이저는 리얼한 피아노 소리를 재현하기 어려웠고 그보다는 상대적으로 더 리얼한 악기소리를 재현하던 DX7에 의해 거의 교체되었습니다. 패치 디자인은 대부분의 신디사이저 플레이어가 직접 해야 할 일이 아닌 특수 작업으로 간주되었습니다. 또한 자신만의 사운드를 디자인하려는 사람들은 DX7의 최소한이고 사용자 친화적이지 않은 인터페이스 때문에 힘들어했습니다. 일부 당사자들은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려고 노력했습니다. 유명한 Jellinghaus 라는 DX7 프로그래머는 DX7의 MIDI 인터페이스를 통해 파라미터편집하는 노브로 가득 찬 기기를 만들어 사용했습니다. 흥미롭게도 Yamaha 자체가 CX5m 음악 컴퓨터를 제공했는데, 그것은 그래픽 DX7 패치 에디터로 전환하는 소프트웨어 카트리지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들 중 어느 것도 잘 팔리지 않았습니다. 대부분의 DX7 고객은 패치 에디팅에 관심이 없었습니다.

Yamaha는 약 5년 동안 이런 흐름을 탔습니다. 그들에게 불행히도 이 시기 동안 메모리는 점점 저렴해졌고, 늦은 80년대에는 PCM 신디사이저가 DX7을 현실 게임에서 이길 수 있는 수준으로 발전하고 FM으로 쉽게 생성할 수 없는 더 리얼한 악기 소리를 제공했습니다. Yamaha 자체도 FM과 샘플 재생을 결합한 신디사이저를 처음 소개했으며, 그 후 FM에서 벗어나 물리 모델링으로 진입했습니다. DX7의 마지막 버전 인 IIFD는 1991년에 생산 중단되었습니다.

이러한 것들은 DX7이 매우 우수하고 능력 있는 신디사이저라는 사실을 숨깁니다. 이것은 8 개의 보이스를 포함했으며, 각각에는 여섯 개의 “오퍼레이터” 또는 서로를 다양한 방법으로 변조할 수있는 개별 사인파 오실레이터가 있었습니다. (Yamaha는 나중에 4 개의 오퍼레이터 버전을 작은 칩 세트로 줄여 이를 사용하여 여러 저렴한 FM 신디사이저의 기반이 되었습니다. 또한 비디오 게임 및 컴퓨터 사운드카드1)에 사용되었습니다.) 키보드는 벨로시티 및 애프터 터치 감도가 있었으며, DX7은 공장에서 MIDI가 장착 된 첫 번째 신디사이저 중 하나였습니다. 병적인 프로그래머에게는 다양하고 독특한 사운드를 만들 수 있는 도구였습니다. Brian eno는 이를 광범위하게 프로그래밍했습니다. 물론 그의 사운드는 그 시절 시장을 지배한 아날로그 신디사이저와는 확연히 다르게 들렸습니다.

오늘날, 많은 수가 생산되었기 때문에 수집가 시장에서는 DX7을 저렴하게 구할 수 있습니다. 현대 컴퓨터 편집기로 패치 에디팅 문제는 대부분 해결되었습니다. 실제로 Native Instruments의 소프트 신디사이저 에뮬레이션 인 FM8은 실제로 DX7과 패치 데이터를 교환 할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중 하나는 “DX7이 실제로 FM을 수행하지 않았나요?”입니다. 기술적으로 그렇습니다. 1983 년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아직도 상당히 제한되었기 때문에 DX7은 내부적으로 연산력이 덜 필요한 페이즈 모듈레이션(PM)을 사용합니다.(프리퀀시 모듈레이션(FM) 및 페이즈 모듈레이션(PM)은 모두 변조 파형이 순수한 사인 파형인 경우 동일한 결과를 생성합니다.) 이것이 DX7 및 대부분의 다른 FM 신디사이저에서 사인파 이외의 다른 파형을 제공하지 않았던 이유이기도 합니다.



파생 제품

히트친 대부분의 제품과 마찬가지로 DX7도 여러가지 파생형이 나왔다.

DX9

DX7 오퍼레이터 6개 → DX9 오퍼레이터 4개

DX1

DX7 두대를 한대로 통합한 DX 플래그쉽

DX5

DX21

DX27

DX27

DX27S

DX100

DX27의 소형 버전

DX7 II-FD


DX7 II-D

DX7S

1)
Adlib
로그인하면 댓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검색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유저위키/신디사이저/fm_synth/yamaha_dx7.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4/02 저자 12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