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음향:signal_processor:reverb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리버브

잔향 효과

  • Pre-delay : Early Reflection 이 시작될 타이밍을 설정한다.
  • Reverb Time : 전체 잔향 시간을 설정한다.
  • Size : 공간의 사이즈를 설정한다. 공간의 사이즈에 따라 Later reflection에서 발생하는 각각의 반사음의 간격이 달라진다. 공간이 작을수록 개별 반사음들 짧은 간격으로 등장하고, 공간이 클수록 개별 반사음들의 간격이 넓어진다.
  • Diffusion : Later reflection의 밀도를 결정한다. 확산(Diffusion)이 많이 발생할수록 반사음의 수가 많아진다.
  • Decay : Reverb Tail은 일반적으로 일정하게 줄어드는데(Linear) Decay를 줌으로써 Reverb Tail이 Non Linear 하게 줄어들도록 설정할 수 있다.
  • Early reflection : Early Reflection의 레벨을 설정한다. Early Reflection은 공간의 재질 특징을 담고 있다. 딱딱한 벽의 반사음인지, 부드러운 반사음인지 Early Reflection의 톤에 따라 달라진다.
  • Reverb : Later reflection의 레벨을 설정한다.
  • Wer/Dry : 원음 성분과 Reverb 소리의 비율을 설정한다. 만약 Reverb를 AUX bus1), FX bus 로 사용하고 있다면 Wet 100%로 설정하여 사용해야 한다. 원음 성분은 원래 채널에서 나오고 AUX, FX 채널에서는 Reverb 소리만 나와야 하기 때문이다.

Chamber 리버브

리버브 효과를 내는 이펙터 아웃보드가 없던 시절에는, 잔향 효과를 위해서 따로 만들어진 리버브 챔버룸에, 스피커마이크를 설치하여, 원음에 해당 챔버룸의 잔향을 첨가하는 식으로 사용했었다. 최근의 디지털 이펙터에서 말하는 챔버 리버브는 이것을 시뮬레이션 하는 것을 말한다.

Plate 리버브

챔버룸을 갖추기 위해서는 공간이 필요했으나, 플레이트 리버브가 개발되면서, 공간을 절약할수 있었고, 또한 플레이트 리버브소리가 금속 플레이트라는 매질을 통해 잔향이 생성되기때문에, 금속에서는 진동의 전달이 훨씬 빨라서, 특유의 진한 잔향 효과를 낼 수 있었다. 최근의 디지털 이펙터에서 말하는 플레이트 리버브는 이것을 시뮬레이션 하는 것을 말한다.

Spring 리버브

작은 음향기기, 특히 기타 앰프 등에 잔향 효과를 넣기 위헤서는 크기가 작은 리버브장치가 필요했는데 그때 주로 쓰이는 것이 스프링을 통한 잔향 장치. 최근의 디지털 이펙터에서 말하는 스프링 리버브는 이것을 시뮬레이션 하는 것을 말한다.

최초의 스프링 리버브는 하몬드에 의해 개발되서 하몬드 오르간에서 쓰이기 시작했고, 펜더사도 이어서 같은 리버브를 자사의 앰프에 넣기 시작했다.

Hall 리버브

클래식 음반 등의 녹음에서는 공연장(Hall)을 빌려서 녹음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마이킹의 위치를 통해, hall의 잔향과, 직접음의 비율을 조절한다. 여기서 유래된 것이 바로 Hall 리버브이고, 최근의 디지털 리버브 이펙터 들에서는 바로 그러한 Hall의 잔향을 시뮬레이션하여 Hall reverb 라고 이야기 한다.

Room Reverb

레코딩 스튜디오에서 라이브 룸2)에서의 악기 녹음 시 룸 마이크악기에서 멀리 배치 하여, 해당 룸의 잔향녹음하여 악기에 근접 마이킹한 소스와 섞어서 잔향 효과로 사용한다. 이때 각기 악기들마다 룸 마이크 소리의 섞는 비율을 통해 각 악기잔향감/원근감을 제어할 수 있다. 최근의 디지털 리버브 이펙터 들에서는 바로 그러한 룸의 잔향을 시뮬레이션하여 Room reverb 라고 이야기 한다.

1)
Send bus
2)
데드 룸의 반대성향, 잔향이 살아있는 룸
로그인하면 댓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검색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음향/signal_processor/reverb.1676511171.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3/02/16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