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정승환_컬럼:history_of_audio_tech:600옴_표준_어디로_갔습니까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600Ω 오디오 표준, 어디로 갔을까?

오디오 표준은 라디오 산업의 필요에서 출발했으며, 600 임피던스오디오 전력dBm으로 측정하는 방식이 그 중심에 있었습니다. 1mW는 0dBm에 해당합니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오디오 산업에서는 오디오 전송 방식에 변화를 주었고, 대부분의 오디오 시스템은 더 이상 600 표준을 따르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오디오 레벨은 600처럼 측정됩니다. 600 표준이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600 오디오 전송 표준은 긴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표준은 라디오 초창기에 쌍선 케이블을 통해 오디오 레벨을 전송할 때 발생하는 손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당시 엔지니어들은 모든 주파수에서 수신 장치로 최대한의 오디오 전력을 전달하려면 케이블 끝의 “부하” 임피던스를 쌍선 케이블의 특성 임피던스와 일치시켜야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이 임피던스오디오 소스의 구동 임피던스와도 일치해야 했습니다.

당시 16 게이지 쌍선 오디오 전송 케이블은 음성 및 음악 주파수 대역에서 약 600임피던스를 나타냈습니다. 따라서 케이블의 원본과 수신 쪽 부하 임피던스도 600으로 맞춰야, 수신 장치로 최대 전력을 전달할 수 있었습니다. 그 시절에는 케이블 전송에서 손실이 발생했기 때문에, 전송 케이블의 양 끝에 진공관 앰프를 사용해야 했습니다. 600 표준은 바로 이 진공관 시대에 등장한 것입니다.

진공관 앰프의 가장 큰 문제는 출력 임피던스가 매우 높고, 입력 임피던스도 더 높았으며, 더 높은 출력 전압에서 작동했다는 점입니다. 이는 600 임피던스출력 레벨과 일치하지 않아, 600 케이블신호효과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고가의 매칭 트랜스포머가 필요했습니다.

라디오 스튜디오가 점차 복잡해지면서 마이크 수십 개와 녹음 장비, 그리고 오디오 믹싱 패널이 있는 대형 스튜디오에서는 여러 장비 간의 연결이 더욱 복잡해졌습니다. 뉴욕의 CBS “Black Rock” 같은 대형 스튜디오는 긴 케이블을 통해 오디오 레벨주파수 응답을 유지하면서 네트워크 연결을 간단하게 유지해야 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엔지니어들은 소스 임피던스를 가능한 한 낮게 (0에 가깝게) 유지하고, 수신 끝 부하 임피던스를 매우 높게 만들면 오디오 신호왜곡 없이 장거리로 전송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또한 수신 쪽 임피던스가 매우 높으면 거의 전력이 소비되지 않기 때문에 손실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결국 “수신 장치에 1mW의 오디오 전력이 전달된다”는 개념은 사라졌고, 1mW가 전달된 것처럼 “가장”하는 방식이 되었습니다. 실제로는 전력이 거의 전달되지 않았으며, 시스템은 600으로 마무리되었습니다.

오늘날에도 전압은 종료 지점에서 측정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은 1mW가 로드에 전달된 것처럼 측정하며, 전력이 전달되지 않더라도 모던 오디오 회로에서 0dBm의 레벨은 그 지점에서 0.7746V의 전압이 존재함을 의미합니다. 현대 오디오 시스템에서는 로드 저항을 연결하거나 해제해도 종료 전압이 크게 변하지 않으며, 이는 큰 장점 중 하나입니다. 수신 종료 임피던스가 매우 높기 때문에 여러 장비를 동일한 위치에 연결해도 전압 변화가 거의 없습니다.

결론적으로, 현재의 오디오 전송 시스템은 더 이상 수신기전력을 mW 단위로 전달하지 않으며, 입력 및 출력 임피던스도 600이 아닙니다. 그럼에도 장비 사양서에는 600 시스템과 호환된다는 내용을 포함해 고객에게 신뢰를 주려는 경우가 있습니다. dBm 레벨 측정에 대해서는…

그냥 “괜찮다”라고 가정하면 됩니다.

로그인하면 댓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검색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정승환_컬럼/history_of_audio_tech/600옴_표준_어디로_갔습니까.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11/28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