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음향:microphone:closed_miking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근접 마이킹

마이크크리티컬 디스턴스 안쪽으로 음원 가까이에 배치하는 것입니다. 이 기술은 직접적인 소리를 포착하고 주변 소음을 줄여줍니다. 이는 라이브 사운드스튜디오 녹음 모두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성공적인 근접 마이킹을 위해서는

거리 계수

거리 계수(DSF)는 방향성 마이크로폰과 무지향성 마이크로폰을 비교하여, 직접음과 잔향의 비율을 유지할 수 있는 최대 거리를 대략적으로 설명합니다. 이는 반향이 많은 환경에서 마이크로폰의 “도달 거리”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방 안의 음원마이크로폰이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만약 무지향성 마이크로폰음원으로부터 1의 거리에 위치해 있다면, 같은 민감도를 가진 카디오이드 마이크로폰은 동일한 직접음과 잔향의 균형을 이루기 위해 음원으로부터 1.73배 떨어진 거리에 위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카디오이드 마이크의 거리 계수(DSF)는 1.73입니다. 거리 계수는 신호진폭과 관련이 있습니다.

Distance factor

The distance factor (DSF) roughly describes how far away we can position a directional microphone compared to an omnidirectional microphone to maintain the direct-to-diffuse field ratio. It can be considered the “reach” of a microphone in a reverberant environment. Imagine a sound source and a microphone in a room. Suppose the distance from the sound source to an omnidirectional microphone is 1. In that case, a cardioid microphone can be positioned 1.73 times from the sound source to achieve the same balance between direct and diffuse sound (given that the microphones have the same sensitivity). Therefore, a cardioid mic’s distance factor (DSF) is 1.73. The distance factor is related to the signal's amplitude.

Reference

근접 마이킹의 몇가지 단점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녹음할 때 또는 채널스트립 설정에서 적절한 시그널 프로세서(컴프레서, 이퀄라이저)를 사용하여 보완하기도 한다.

Reference

로그인하면 댓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검색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음향/microphone/closed_miking.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6/23 저자 정승환